티스토리 뷰
수동태(Passive Voice)
1. 수동태란?
'행위자 - 수동자'의 상관관계에서 수동자가 주어임을 표시하는 술어동사의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'--되다, --당하다'의 의미로 해석한다.
능동태: 주어 + 동사 + 목적어 (주어가 목적어에 어떤 영향)
수동태: 주어 + be 과거분사 + by 능동문 주어의 목적격
2. 3형식 문형의 수동태 (3형식->1형식)
I love her. [난 그녀를 사랑한다.](현재)
->She if loved by me.
Columbus discovered America. [콜롬부스는 미국을 발견했다.] (과거)
->America _was_ discovered by Columbus.
I have written the letter. [난 그 편지를 썼다.] (현재완료)
-> The letter _has been written_ by me.
I had seen the sight. [난 그 광경을 본 적이 있다.] (과거완료)
->The sight _had been seen_ by me.
I am writing a novel. [난 소설을 쓰고 있다.] (현재진행)
->A novel _is being written_ by me.
He was doing it. [그는 그 일을 하고 있었다.] (과거진행)
->It _was being done_ by him.
The company has been testing him all morning. [회사는 오전 내내 그가 시험을 치도록 했다.] (현재완료진행)
->He _has been tested_ all morning by the company.
- 참고 : 위의 3형식 문장을 수동태로 우리가 배운 바대로 바꾼다면 "He has been being tested all morning by the company."가 되어야 할 것이다. 그러나 동사의 형태가 완료진행형인 문장은 수동태로 바꿀 때 완료진행형 수동태로 하지 않고 그냥 완료수동태로 쓴다.
They sell tea at that store. [그 상점에서 홍차를 판다.]
->Tea is sold at that store.
- 수동태에서 행위자가 일반인이나 막연한 사람을 나타내는 by them, by us등은 일반인 주어로 생략이 된다.
She seated herself on the chair. [그녀는 의자 위에 앉았다.]
->She was seated on the chair. [그녀는 의자 위에 앉아 있었다.]
-재귀대명사가 수동태의 주어로 갈 때에는 주격 1인칭으로 바뀌며 원 문장은 동작을 강조하지만 수동태 문은 상태를 강조한다.
3. 3형식 수동태의 주의사항
1. 목적어가 명사절인 경우
We(s) sav(v) that he is clever(o) [우리는 그가 현명하다고 말한다.]
-> That he is clever is said ( by us ).
= It is said (by us) that he is clever.
= It is said that he is clever (by us).
= He is said to be clever.
- 주절과 명사절의 시제가 같다면 to be라는 단순형 부정사가 쓰이고 명사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서면 그 때에는 완료형 부정사를 쓴다. 만약 원문이 "We say that he was clever."라면 완료형 부정사를 이용해 "He is said to have been clever."라고 고쳐야 한다.
I believed that she was rich. [난 그녀가 부자였다고 믿었다.]
->That she was rich was believed by me.
=It was believed that she was rich by me.
= She was believed to be rich by me.
2. 부정문 수동태
Nobody believes that she was beautiful. [아무도 그녀가 예전에 아름다웠다고 믿지 않는다.]
->That she was beautiful is believed by nobody. (x)
=It is believed by nobody that she was beautiful. (x)
- 원문은 틀린 문장이 아니지만 아래의 두 문장은 틀린 문장이다. 왜냐하면, 영어에서 부정어는 앞으로 가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부정어가 문장의 맨 앞쪽에 존재해야 하기 때문이다. no, never, nobody, nothing은 각각 not + any, not + ever, not + anybody, not + anything으로 분해가 되며 앞의 not이 문장의 앞으로 가려는 성질이 있다. 따라서 올바른 문장은 아래와 같다.
It is _not_ believed _by anybody_ that she was beautiful. (o)
또 부정사를 이용한 구문에서도 She is believed to have been beautiful by nobody. 도 틀린 문장이 되며 아래와 같아야만 맞는 문장이 된다.
She is not believed to have been beautiful by anybody.
위와 같이 no, never, nobody, nothing이 들어있는 문장에서는 수동태로 전환할 때 반드시 이들을 분해해서 부정어 not을 문장의 앞으로 보내야만 한다.
'영어 직독직해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동사 - 타동사 : 3형식 문형, 4형식 문형, 5형식 문형 (0) | 2021.01.17 |
---|---|
동사 - 자동사 : 1형식 문형과 2형식 문형 (0) | 2021.01.14 |
직독직해를 위한 조언(1) (0) | 2021.01.12 |
직독직해란? (0) | 2021.01.11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